지도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Dnipro International Airport)

세계 >  유럽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 주 >  Dnipro rural raion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Dnipro International Airport)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은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드니프로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드니프로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1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해발 147m에 위치하며 콘크리트 표면을 띤 기길이 2,841m, 폭 44m의 활주로가 있다. 드니프로아비아의 허브 공항이기도 하다. 2011년에는 여객 터미널을 건설하는 계획을 시작했다. 이 계획은 하르키우에 위치한 하르키우 국제공항과 동일한 사양을 가진 대형 국제터미널이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중단되었고 기초 공사 이상의 공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IATA Code DNK  ICAO Code UKDD  FAA Code
 전화  팩시밀리  전자우편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지도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Dnipro International Airport)

위도 / 경도 : 48° 21' 26" N / 35° 6' 2" E | 시간대 : UTC+2:0 / UTC+3 | 통화 : UAH | 전화 : 380  
지도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Dnipro International Airport)  

사진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항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제공...
1 

나라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Warning: getimagesize(/Image/Map/MP690791.gif):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mapnlee7/public_html/MAPNALL/geoname.php on line 1587
우크라이나의 국기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의 국가이다.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흑해와 아조프 해, 동쪽과 북동쪽으로는 러시아, 북쪽과 북서쪽으로는 벨라루스, 서쪽으로는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남서쪽으로는 루마니아, 몰도바와 접한다. 키이우가 수도며 가장 큰 도시다. 동유럽 평원과 이어져 있으며 기후는 비교적 온화한 편이다. 공용어는 우크라이나어 및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인구의 절반(주로 동남부 지역)은 러시아어 사용자이다.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합병함에 따라 행정력이 크림반도에 미치지 못하지만, 국제사회는 대체로 크림반도를 우크라이나의 일부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역사는 동슬라브족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최소한 9세기 무렵 이후로는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중세 동슬라브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키예프 공국으로 알려진 이 나라는 유럽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나라가 되었으나 12세기에 분열되었다. 14세기부터 우크라이나 일대는 여러 지방 세력에 의해 분열되어 몽골족·폴란드·리투아니아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까지 우크라이나의 가장 큰 부분이 러시아 제국에 통합되었고, 나머지 부분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통제하에 놓였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혁명 후의 혼란과 끊임 없는 전쟁 속에서 여러 차례 독립을 시도하여 1917년에 민족국가를 건설했으나, 1922년에 소비에트 연방에 강제합병되었다. 1923년 소비에트 연방 헌법의 적용을 받았다.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독립하였다. 군사력 운영의 질적 수준은 아직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중간사이다. 지하자원도 풍부하여, 도네츠 탄전의 석탄, 크리보이로그의 철광석, 카르파티아 유전과 천연가스, 그 밖에 망간, 우라늄, 식염, 칼리염, 석회석 등을 산출한다. 주민은 73%가 우크라이나인, 22%가 러시아인이다. 산업으로는 석탄·철광·선철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풍부한 수력전기를 이용하여 기계제조공업·화학공업이 크게 발달했으며 유수의 공업지대를 이루고 있다. 석탄업, 철강업, 기계제조업, 화학공업의 중심은 돈바스·드네프르 주이며, 드네프르강의 하구에서 키이우까지의 사이에는 6개소의 수력발전소가 단계상(段階狀)으로 건설되어 있다. 우크라이나의 경지율은 약 70%에 이르고 있어, 겨울밀·옥수수·보리·사탕무·해바라기·포도의 재배, 가축사양 등에서는 구 소련 시절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온난한 크림반도 남단과 광천(鑛泉)이 솟는 카르파트 지방은 중요한 관광·보양지이다. 러시아의 작가 니콜라이 고골의 작품 〈타라스 부리바〉의 배경이 되기로도 알려졌다. 공용어는 우크라이나어 및 러시아어가 쓰이고, 국민의 대다수가 믿는 종교는 우크라이나 정교회이다.
통화 / 언어  
ISO 통화 상징 유효숫자
UAH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Ukrainian hryvnia) 2
ISO 언어
RU 러시아어 (Russian language)
UK 우크라이나어 (Ukrainian language)
PL 폴란드어 (Polish language)
HU 헝가리어 (Hungarian language)
Neighbourhood - 나라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러시아 
  •  슬로바키아 
  •  폴란드 
  •  헝가리 
 mapnall@gmail.com